2025. 4. 13. 12:47ㆍ카테고리 없음
오늘은 직업 연봉 순위 10위권에 대해 말씀드리려 합니다. 다른 자영업이나 프리랜서 위주로 가면 너무 산으로 갈 것 같아서 연봉제 위주로 정리해서 안내드립니다. 이들의 초년 연봉의 평균과 업계 연봉의 평균을 비교해서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본 정보를 통해 진로 설정이나 커리어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면 좋겠지만, 재미로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1. 의사(전문의)
- 초년 연봉: 약 6,000만 원 ~ 1억 원
- 평균 연봉: 약 1억 5천만 원 ~ 3억 원 이상
의사의 경우엔 내과, 외과, 성형외과, 정형외과 등 전문 분야에 따라 연봉 차이가 크고, 개원 여부에 따라 수익은 수배 이상 차이가 나기도 하네요.
2. 변호사
- 초년 연봉: 약 4,000만 원 ~ 1억 원
- 평균 연봉: 약 1억 원 ~ 2억 5천만 원
대형 로펌 소속일수록 연봉이 높고, 형사·민사·기업법무 등 분야에 따라 소득 차이가 납니다
물론 개인 개업 후 성공한다면 억대 연봉을 기대할 수 있겠죠.
3. 항공기 조종사 (파일럿)
- 초년 연봉: 약 6,000만 원 ~ 1억 원
- 평균 연봉: 약 1억 5천만 원 ~ 2억 원
민항기 조종사는 높은 책임과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어 기장이 되면 연봉이 크게 상승합니다. 결정사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는다고 하네요.
4. 치과의사
- 초년 연봉: 약 7,000만 원
- 평균 연봉: 약 1억 5천만 원 이상
치과의사도 진료 분야와 지역에 따라 수입 차이가 있습니다. 임플란트 또는 교정기 전문이거나 고령화 지역에서 두각을 나타낸다고 하네요. 개원한 경우 연 수익은 2~3억 원을 넘기도 합니다.
5. 공인회계사(CPA)
- 초년 연봉: 약 4,500만 원 ~ 6,000만 원
- 평균 연봉: 약 1억 원 내외
4대 회계법인이나 기업 재무팀, 세무법인에서 활동하며 경력이 쌓일수록 안정적이고 고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시험의 난이도가 상당해 상대적으로 없어서 채용 못한다는 말도 있습니다.
6. 기업 임원 (CEO, CFO 등)
- 초년 연봉: 보통 팀장급 이상부터 수천만 원대
- 평균 연봉: 약 2억 원 ~ 수십억 원까지
스톡옵션, 성과급 등 회사마다 다양한 보상 체계가 있으며, 기업 규모나 업종에 따라 편차가 매우 큽니다만, 일반적인 인식을 기준으로 해서 순위권에 넣었습니다.
7. 약사
- 초년 연봉: 약 4,500만 원 ~ 6,000만 원
- 평균 연봉: 약 9,000만 원 ~ 1억 2천만 원
병원·약국 근무 외에 개인 약국 개업 시 수익 상승 폭이 큽니다. 특히 지역 약국은 고수익인 경우도 많습니다. 약국의 경우엔 개업 전에 약품 및 물품을 구비해둬야 영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초기비용이 있어 약국으로 취업하는 경우가 많아서 연봉제 순위에 랭크했습니다.
8. 판사·검사
- 초년 연봉: 약 6,000만 원 내외
- 평균 연봉: 약 1억 원 이상
공무원이지만 일반 행정직과는 달리 고연봉에 속하며 사회적 위상 또한 높습니다. 승진에 따라 연봉이 상승합니다.
9. IT 개발자 (AI, 보안, 데이터 분야 중심)
- 초년 연봉: 약 4,000만 원 ~ 6,000만 원
- 평균 연봉: 약 8,000만 원 ~ 1억 5천만 원 이상
AI, 데이터 분석, 사이버보안 등 특수 기술 분야에 종사할수록 연봉이 상승하며, 경력직은 해외 이직도 유리해서 중국 등의 기업으로 이직하여 연봉을 더 높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10. 유튜버·인플루언서
- 초년 수익: 수익 없음 ~ 월 수십만 원
- 평균 수익: 구독자 수에 따라 연 1억 원 이상도 가능
어디까지나 상위 1%에 한정되지만, 콘텐츠 수익, 광고 및 협찬 등 다양한 수익 구조로 고소득이 가능하지만, 안정성은 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