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접 질문 ! 단골 예상 질문에 100% 답변하기
2025. 5. 30. 13:31ㆍ카테고리 없음
728x90
반응형
728x90
서류 전형과 필기시험을 통과했습니다. 이제 면접이 남았죠. 서류로써 설득하는 것은 몇번의 수정 끝에 해낼 수 있기에 문제되지 않지만, 면접은 Face to Face 즉, 나의 시선과 말투로 당락이 결정됩니다. 예전 8090년대에는 정답을 요구하는 질문이 많았는데요. 현재는 논리성을 갖추고 그에 걸맞는 태도에 대한 시점으로 면접이 전개됩니다. 그래서 단골 질문과 압박 질문을 진행하게 될텐데요. 압박 질문 같은 경우엔 직무에 연관되는 전문성에 맞는 질문이니 해당 분야에 대한 방대한 지식이 요구되죠.
그럼 단골 질문에 대해서는 어떻게 답변해야 할까요?
면접 예상 질문 100% 정공법
1. “간단하게 자기소개?”
- 목적: 첫인상 평가와 동시에 논리력을 확인하기 위함
- 전략: 1분 이내로 이력서 내용을 요약하여 어필
- 예시:
“저는 대학에서 OO을 전공하며, OO 수업에서 OOO를 수행한 경험이 있습니다. 특히 작년엔 OOO기업의 인턴십을 통해 실무 경험을 쌓았고, OOO 브랜드로써 (→지원 동기)를 느껴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2. “지원 동기는?”
- 목적: 직무 및 회사에 대한 이해도와 진실성을 확인하기 위함
- 전략: 기업의 비전, 직무, 사내 캐치프레이즈 등 언급하며 자신과의 연결
- 예시:
“귀사의 (→캐치프레이즈)가 제 가치관과 잘 맞는다고 느꼈습니다. 대학/인턴 시절에도 OOO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XX%의 매출 성장시킨 경험이 있어, 그 경험을 바탕으로 회사에 기여하고 싶습니다.”
3. “본인의 장점이 있다면?”
- 목적: 자기평가와 직무 적합도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함
- 전략: 장점과 근거 사례를 연관 짓고 직무에 얼마만큼 적합한지 서술
- 예시:
“저는 분석력과 문제 해결력이 장점입니다. 실제 OO 프로젝트에서 고객 설문 상 핵심 문제 요인을 도출했고, 그 결과 XX% 이상 서비스 만족도가 개선된 경험이 있습니다.”
4. “그렇다면 단점은?”
- 목적: 자기평가 및 사내 소통, 적응 분야에서 제한되는지 파악하기 위함
- 전략: 귀여운 단점을 예시로 들어 이를 극복해냈다는 식
- 예시:
“초기에는 낯선 사람들과의 대화가 어려운 성향이었으나, 대학/인턴 시절 프레젠테이션/프로젝트를 통해 점차 극복했고, 현재는 고객 응대 경험에 문제없이 잘 마무리했습니다.”
5. “n년 뒤 뭐하고 있을 것 같은지?”
- 목적: 열정, 성장, 비전 등 채용 후, 긍정 효과가 있을지 판단하기 위함
- 전략: 직무 전문성을 성장시켜 회사에 기여하겠다는 식
- 예시:
“n년 후에는 OO분야와 OO분야를 접목시켜 OOO 엑스퍼트로 성장해 있을 것 같습니다. 그 과정에서 OO과 OO을 통해 회사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싶습니다.”
6.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 목적: '마지막으로 큰 인상을 남겨봐라' 어필 기회를 주기 위함
- 전략: 감사 인사에 더불어 장점, 포부 등 한번 더
- 예시:
“오늘 이렇게 기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말씀드렸 듯, OOO 경험을 통해 OO능력으로 귀사의 OO분야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합니다. 이 회사와 함께 가고 싶습니다.”
마무리하며
면접은 자기 자신을 포장하려고 하면 들킵니다. 거짓을 꾸며내는 행위는 용납치 않으며, 지원자의 진솔한 말을 요구합니다. 너무 외운 티 나게 해서는 안 되며, 솔직하지만 논리적으로 표현하려는 액션이 중요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면접관이 하는 질문의 목적이 무엇인지를 파악해야 그에 맞는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